-
조류독감으로 계란값 폭등 (AI관련주)주식/[국내]종목분석 2021. 2. 7. 19:58반응형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주
조류독감으로 죽은 닭을 처리하는 방역요원들 (AP=연합뉴스)
- 전남 영암 오리농장 1곳 고병원성 조류독감 확진
- 제주,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독감(AI) 검출
- 지난 일주일간 고병원성 조류독감 확진 25건…정부 '집중 소독'
- 조류독감 장기화에 치솟는 계란·닭고기 값…밥상 물가 '뜀박질'
- [단독] 조류독감 탓에…GS25 편의점 달걀판매 전격중단
- 아시아나항공, 조류독감에 정부와 협력해 미국산 계란 긴급수송
1월부터 지속적으로 조류독감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뉴스들이 나오고 있으며,
오늘은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주와 조류독감에 따른 시장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조류인플루엔자(AI)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경로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바이러스는 철새, 닭, 오리 등 조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이다.이는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이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파 속도, 폐사율 등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HPAI)과 저병원성(LPAI)으로 구분된다. 국가 간에는 주로 감염된 철새의 배설물에 의해 전파된다. 고병원성 AI 발생국을 방문한 사람이나 감염된 닭고기, 오리고기, 생계란 등에 의해서도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조류를 키우는 농장 내에서나 농장 간에는 주로 오염된 물, 분변, 먼지, 사람의 의복, 차량 바퀴, 신발, 달걀 껍데기 등에 묻어 전파된다.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할 경우, 발생 농장만 아니라 3㎞ 이내의 닭, 오리, 달걀은 전부 폐기된다. 3~10㎞ 사이의 조류 및 그 생산물에 대하여도 이동 통제를 시행한다.
조류독감으로 인한 시장변화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정보서비스 1) 계란값 폭등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과 살처분 조치로 공급 여력 부족
지난달 29일 기준 특란 30개당 소비자가격은 7350원으로 평년(5337원) 대비 37.7%나 높은 상황
계란값 폭등 7000원대 접어든 계란값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수입산 신선란 약 2000만개 시중 공급 추진2) 정부방역조치
최근 조사 결과 약 575천마리의 철새가 국내에 도래한 것으로 확인
바이러스 검출지역(103개 주요 철새도래지)을 격리 및 오염원 제거를 위해 해당지역을 집중소독
농식품부, 국방부, 지자체, 농협, 농진청 등 소독자원(소독차 211대, 광역방제기 109대, 군제독차 16대, 살수차 6대, 드론 21대 등)https://www.poultry.or.kr/bbs/board.php?bo_table=ai_info
상기 링크를 따라가면 AI 관련정보를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다.
조류독감 관련주
1) 케이씨피드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 목적으로 설립된 동사는 이후 사업 다각화를 위해 거래 농가의 축산물(계란) 구입, 액란 제조 판매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함. 주요 브랜드로 톱플러스, 한돈애 및 아이엠에그 등을 보유하고 있는 식품사업부문은 정품 계란만을 원료로 사용하는 액상 계란을 생산하여 공급함. 맞춤형 사료 생산과 농가경영 개선을 위한 컨설팅 도입을 위해 네덜란드 FIS사와 기술제휴를 진행하였고, CRM도입으로 경쟁력을 확보.
2) 팜스토리동사는 배합사료, 양돈사육, 도계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계열회사는 29개사를 보유하고 있음. 동사의 경쟁력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가족사의 우수한 업무연계성에 있으며, LPC의 도축, 가공 능력 또한 위생과 규모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육가공사업부의 경우 돼지도축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20년 시장점유율은 3.46%이며, 2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3) 이글벳동사는 1970년 10월 5일에 개인기업인 이글케미칼공업사를 설립하였으며, 1983년 12월 6일에 주식회사 이글케미칼 법인으로 전환하였음.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동물약품제조, 판매 등이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과 통신판매업 및 전자상거래 등의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호주와 동남아 일대에 수출을 시작하여 현재는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해외시장 개척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4) 대한뉴팜1984년 10월 설립되어 동물약품으로 시작하였으며 1995년에 건강보조식품, 인체의약품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함. 2012년도에 바이오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웰빙사업의 고도화를 위하여 2014년도에 의료기기 사업에 진출함. 전문의약, 웰빙의약, 동물의약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바이오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 투자하여 전문화하고, 융합화하여 세계로 무대를 옮겨 나갈 것임.
5) 제일바이오동사는 동물의약품 전문 회사로서 1977년 설립되어 2002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02년 사명을 제일화학에서 제일바이오로 변경함. 동사는 발효를 기반으로 하는 동물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제형화와 일반사료첨가제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성과를 상업화하고 있는 중임. 국내 발효설비를 보유하고 순수 우리 기술에 의하여 개발된 원료를 생산 판매 수출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선도적인 입지에 올라 있음.
반응형'주식 > [국내]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팩 신규사업 및 역대 최대 실적(파워넷) (0) 2021.02.20 코로나 이후 건강식품 수요증가 (코스맥스엔비티) (0) 2021.02.14 카카오(035720) 주가 상승한 이유? (0) 2021.02.13 삼성전자 테슬라 5나노 차량용반도체[SFA반도체] (1) 2021.01.31 도쿄 올림픽 취소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JTC) (1) 2021.01.23